반응형
연산자
산술 연산자
수학적인 계산에 사용된다. 숫자뿐만 아니라 데이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
+ 더하기, - 빼기
* 곱하기, / 나누기
% 나머지(나눈값의 나머지값)
단항 연산자
이항 연사자와 다르게 항이 한개인 연산자를 의미한다.
+ 양수를 표현한다(실제로는 생략),
- 음수를 표현한다
++ 증가 연산자로. 항의 값을 1씩 증가한다(++4 :4값이 1씩증가)
-- 감소 연산자 (--10: 10값이 1씩 감소한다)
연산의 우선순위
우리가 알고 있는 사칙연산의 우선순위를 말한다.
삼항 연산자
삼항연산자는 if과 같은 역할을 하나 더 간단하게 사용할수 있는 논리 연산이다.
if( a > b) {
a = 111;
System.out.println("a의 값은::"+a);
}else{
b = 222;
System.out.println("b의 값은:::"+b);
}
다음의 코드를 삼항연산자로 표현한다면 다음과 같다.
result = (a>b)?111:222;
System.out.println("result의 값은:::"+ result);
a>b가 true일경우 111이 출력되고, false일경우 222 가 result에 반환된다.
반응형
'프로그래밍 > Java (기초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건문 - if (0) | 2016.03.18 |
---|---|
비교와 Boolean(불리언) (0) | 2016.03.18 |
형변환(자동, 명시적 형변환) (0) | 2016.03.18 |
상수의 데이터타입 (0) | 2016.03.18 |
데이터 타입(정수형, 실수형,문자) (0) | 2016.03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