형변환
자동 형변환
자바는 같은 데이터 타입끼리 연산이 가능한데..
이때 작은범위의 데이터 타입과 큰 데이터 타입끼리 연산을 할 경우
작은 데이터 타입이 큰 데이터 타입으로 자동 변환이 된다.
이를 자동 형변환이라 한다.
자동 형변환의 규칙
int a = 3; // 정수 a는 정수 데이터 3을 할당한다
float b = 1.0F; // 실수 b에 float 1.0을 할당한다.
double c = a + b;
// a와 b를 더하면 int a가 자동 형변환으로 float이 되어
b와 더해지고, 그 값은 c가 되며 c값은 double 데이터 타입을 갖는다
최종적으로 이 값은 double c에 할당된다.
(작은 데이터 범위인 int가 float으로 자동 형변환 되었고 연산후
float은 double c에 할당되며 최종적으로 double이 된다)
명시적 형변환
자동 형 변환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, 수동으로 형변환을 할때
명시적 형변환이라 부른다.
(주로 큰 데이터 타입의 데이터를 작은 데이터 타입으로 할당할때 사용한다[자동 형변환이 이루어지지 않기때문])
float a = 100.0; // float a에 double 100.0이 할당될수없다
int b = 100.0F; // int b에 100.0F(float)이 할당 될수없다.
디버그
float a = (float)100.0; // double 100을 float으로 명시한다
int b = (int)100.0F; // double 100.F를 int로 명시한다.
'프로그래밍 > Java (기초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교와 Boolean(불리언) (0) | 2016.03.18 |
---|---|
연산자, 그리고 삼항 연산자 (0) | 2016.03.18 |
상수의 데이터타입 (0) | 2016.03.18 |
데이터 타입(정수형, 실수형,문자) (0) | 2016.03.18 |
변수(Variable) 숫자, 문자, 문자열 (0) | 2016.03.18 |